본문 바로가기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8. 간헐적 위관영양(이론적근거)

핵심술기 8. 간헐적 위관영양

1) 위관영양의 목적

  1. 수술이나 암 등에 의한 구강이나 식도 장애로 구강으로 정상적으로 음식을 섭취할 수 없는 대상자에게 영양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2. 심한 담백질 결핍 도는 단백질과 칼로리 영양결핍 대상자에게 영양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3. 구강으로 음식을 섭취하는데 어려움은 있으나 위장관의 기능이 정상일 때, 장,단기적으로 영양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4. 구강으로 약물을 섭취할 수 없는 대상자에게 위관을 통해 약물을 투여하기 위함이다.
  5.  

 

2) 위관영양 시 유의사항

  • 위관이 위에 정확히 위치하고 있는지 철저히 확인해야 한다.
  • 위 내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영양액을 주입한다.
  • 위관영양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에 물을 흘려보내 튜브가 농축된 유동식으로 인해 막히는 것을 예방한다.
  • 위관영양 전에 잔류량을 확인한다.(흡인된 위 내용물이 250mL 미만 시 위로 다시 주입하고, 250mL 이상 시 소화가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영양공급 중단 후 의사에게 알려야 한다.)

3) 위관영양의 부작용의 종류와 간호중재

기도흡인 - 흡인 예방을 위해 반좌위(침상 머리 30~45도)를 취해준다.
- 급식관의 위치를 정기적으로 사정한다.
- 간헐적 위관영양 공급대상자는 급식 바로 전에 위의 잔여량을 측정해야 한다.
설사, 탈수 - 1분에 50cc미만의 속도로 주입한다.
  -> 너무 빠른 속도의 주입은 팽창을 유발해 오심, 구토,설사, 장경련이 유발될 수 있다.
- 영양액은 체온에 맞게 미지근하게 데워서 주입한다.
  -> 차가운 영양액은 설사와 장경련을 유발할 수 있고, 뜨거운 영양액은 화상을 입힐 수 있다.
오심과 구토 - 영양액을 천천히 주입한다.
- 증상이 있을때 영양액 주입을 멈추고 위의 잔류량을 검사한다.
- 식사 후 30분 동안 오른쪽으로 누워있게 하거나 반좌위를 취해준다.
당뇨와 빈뇨 - 높은 용액인 경우 함유된 젖당으로 인해 알러지가 발생할 수 있다.
- 고농도 탄수화물 음식은 천천히 주입한다.
- 음식의 강도를 줄이며 필요 시 인슐린을 투여한다.
변비 - 식이변경, 완화제, 수분 증가 등을 의사와 상의하여 식이를 결정한다.

4) 준비물품

  • 처방된 위관영양액
  • 관장용 주사기(50mL), 영양액 주입 용기와 세트
  • 위 모형이 있는 인형
  • 쟁반(tray), 곡반(폐기물 용도)
  • 손소독제, 간호기록지

5) 수행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