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ursing Department

(13)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13. 수술 후 간호(배액관-JP, Hemovac 관리, IV PCA 관리) 핵심술기 13. 수술 후 간호(배액관-JP, Hemovac 관리, IV PCA 관리) 1. 수술 후 합병증 (1) 호흡기계 합병증 - 무기폐: 폐의 불완전한 팽창과 허탈, 주로 수술 후 36시간 내로 발생, 주 증상으로는 발열과 수포음, 호흡곤란, 저산소증 등 - 패색전증: 응고된 혈액이 심장에서 떨어져 폐로 순환되다가 폐의 혈관을 막아 발생, 심각한 수술 후 합병증으로 적절한 치료가 되지 않으면 사망할 수 있음 - 폐렴: 폐엽에 발생한 염증, 불완전한 폐 확장과 분비물이 주 원인, 주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발열, 오한 흉막염 통증 등 (2) 소화기계 합병증 - 오심과 구토: 전신마취를 한 환자의 25~30%에서 나타나는 흔한 합병증, 수술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 - 마비성 장폐색증: 주로 복부 수술이..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12. 수술 전 간호(심호흡 격려, 수술부위 피부준비 및 주의사항) 핵심술기 12. 수술 전 간호(심호흡 격려, 수술부위 피부준비 및 주의사항) 1. 준비물품 전신 또는 복부 마네킹 거즈, 휴지(prn) 스크린 또는 커튼 incentive spirometer 제모제 1회용 장갑 담요, 베개 종이수건 손소독제, 간호기록지 2. 수행항목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11. 배출관장(이론적근거) 핵심술기 11. 배출관장 1) 배출관장의 목적 변비나 분변매복으로 인해 장에 머물고 있는 변을 배출하기 위함이다. 수술이나 검사를 위해 장을 깨끗이 비우기 위함이다. 수술이나 분만 시 배변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체온을 하강시키기 위함이다. 2) 배출관장 시 유의사항 직장으로 주입되는 모든 용액은 체온보다 약간 높은 정도로 따뜻하게 하되, 해열을 위해서는 체온보다 더 낮은 온도의 관장액을 사용해야 한다. 영아와 아동은 신체의 크기가 다르므로 필요한 관장액의 양을 잘 알아야 한다. 직장관 끝에 윤활제를 잘 묻힌 다음 아동은 5~7.5cm, 영아는 2.5~3.7cm정도만 삽입하도록 한다. 3) 준비물품 관장액(글리세린) 온수(37.7~40.5℃) 50mL 주사기나 관장용 주사기 카테터(1..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10. 유치도뇨(이론적근거) 핵심술기 10. 유치도뇨 1) 유치도뇨의 목적 장기간 자연배뇨가 불가능할 때 도뇨를 하기 위함이다. 방광세척을 하거나 방광 내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함이다. 비뇨기계 또는 주변 장기의 수술 준비 전 처치로 방광을 비우기 위함이다. 시간 당 소변 배설량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혈괴로 인한 요도 폐쇄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장기간 전신마취를 하여 수술을 하는 경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립선 비대 등으로 소변 배출 통로의 폐쇄가 있을 경우 도뇨를 하기 위함이다. 2) 유치도뇨 시 유의사항 요로감염은 병원감염의 흔한 형태 중 하나로 도뇨관 삽입이 요로감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므로 도뇨관 삽입 시 철저한 무균술을 지켜야 한다. 준비한 세트를 열고 닫는 경우 멸균 수법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도뇨관을 무리하게 삽..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9. 단순도뇨(이론적근거) 핵심술기 9. 단순도뇨 1) 단순도뇨의 목적 환자가 소변을 보지 못할 때 방광의 내용물을 비우기 위함이다.(요정체, 하복부 종양, 실금 등 자연 배뇨가 불가능한 경우, 방광세척 또는 약물 주입 전 준비) 내진 또는 하복부 수술을 위해 방광을 비우기 위함이다. 무균적인 소변 검사물을 채취하기 위함이다. 배뇨 후 방광에 남아 있는 잔뇨량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척수 손상이나 근육 신경계의 퇴행 등 불오나전한 방광기능을 가진 대상자의 장기적인 관리를 위함이다. 급성 방광팽만을 완화하기 위함이다. 2) 단순도뇨의 적응증 수술 후 8 ~ 12 시간 동안 배뇨할 수 없는 환자 안정제나 진통제의 효과로 배뇨가 불가능해진 환자(epidural PCA 가진 경우) 불완전한 방광 기능을 가진 환자 척추손상 3) 단순도뇨 시..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8. 간헐적 위관영양(이론적근거) 핵심술기 8. 간헐적 위관영양 1) 위관영양의 목적 수술이나 암 등에 의한 구강이나 식도 장애로 구강으로 정상적으로 음식을 섭취할 수 없는 대상자에게 영양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심한 담백질 결핍 도는 단백질과 칼로리 영양결핍 대상자에게 영양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구강으로 음식을 섭취하는데 어려움은 있으나 위장관의 기능이 정상일 때, 장,단기적으로 영양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구강으로 약물을 섭취할 수 없는 대상자에게 위관을 통해 약물을 투여하기 위함이다. 2) 위관영양 시 유의사항 위관이 위에 정확히 위치하고 있는지 철저히 확인해야 한다. 위 내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영양액을 주입한다. 위관영양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에 물을 흘려보내 튜브가 농축된 유동식으로 인해 막히는 것을 예방한다...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7. 수혈요법(이론적근거) 핵심술기 7. 수혈요법 1) 수혈 시 필요한 혈액검사 결과 ▶ 혈청검사 - ABO, Rh: A, B와 항원의 절혈구 표면 존재여부 결정 - 교차검사(적합성 검사): 혈정 내 항체에 의해 초래되는 공여자 적혈구의 응집여부 파악 ▶ 감염성 질환 검사 - 간염검사(HBs Ag, Anti-HCV): B형 간염 항원과 C형 간염 항체 유무검사 - HIV 검사: HIV에 대한 항체 유무 검사 - Cytomegalovirus(CMV) 검사: CMV에 대한 항체 유무검사 - 매독검사: 나선상 세균에 대한 항체 유무검사 2) 수혈 부작용의 종류 및 간호중재 유형 임상소견 간호중재 세균성 체온상승, 저혈압, 건조하고 상기된 피부, 복통, 두통, 요통, 갑작스러운 오한 - 즉시 수혈 중단 - 정맥로 확보 후 N/S 주입 -..
[기본간호학] 핵심술기 6. 정맥 수액 주입(이론적근거) 핵심술기 6. 정맥 수액 주입 1) 정맥주사 목적 구강섭취가 어려운 대상자의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기 위함 전해질, 산, 염기 불균형 조절을 하기 위함 약물의 지속적인 혈중 농도를 유지하기 위함 응급상태에서 약물을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함 항생제나 항암제, 수혈 등의 약물 투여하기 위함 약물을 희석해서 서서히 주입하기 위함 2) 투약의 기본원칙 ≪5 rights(or 6 rights) ≫ 정확한 대상자(right patient): 대상자 등록번호와 대상자명 확인 정확한 약물(right drug): 약물과 대상자 확인(최소 3번이상) 정확한 용량(right dose): 과다, 과소 투여 예방을 위한 용량 확인 정확한 경로(right route): 약물에 따른 주사부위 확인 정확한 시간(right time): ..